DevOps(15)
-
고가용성
고가용성은 aws의 RDS 서비스의 특징이다. 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HA) 고가용성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의 정보 시스템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정상 운영이 가능한 성질을 말한다. "절대 고장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흔히 가용한 시간의 비율을 99%나 99.9% 등과 같은 퍼센티지로 표현한다. 파이브 나인스(5 nines) 즉 99.999%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고품질의 데이터센터에서 목표로 한다고 알려져 있다. RDS뿐 아니라 다른 서비스에서도 고가용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aws.
2020.02.07 -
util 클래스의 역할
이번 SNS project에서 controller, domain, repository, util로 패키지를 나누었습니다. 보통 보안, 문자열처리, 날짜 처리 등등 특정 비즈니스 로직과 독립적인 기능들은 util 패키지에 넣고 XXXUtil 클래스로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만약에 RandomToken이 무조건 회원과 관련되서만 사용이 된다고 하면 회원 관련 패키지에 들어갈수도 있긴 하겠지만, 토큰을 만들어내는 것 자체는 비즈니스 로직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util 패키지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특정 개념과 독립적인 기능 + 다른 부분과 의존성이 없고 input parameter 만 갖고 단순한 처리만 하는 메소드들은 특히 정적(static) 메소드로 많이 구성을 합니다. Bean으로 주입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2020.02.07 -
DevOps 191226
캐시(cache)란? 프로그램이 수행될 때 나타나는 지역성을 이용하여 메모리나 디스크에서 사용되었던 내용을 특별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보관하고 관리함으로써, 이 내용을 다시 필요로 할 때보다 빠르게 참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느낌은 메모리 저장 느낌적인 느낌) 사용되었던 데이터는 다시 사용되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개념을 이용하였다. 참조: https://richong.tistory.com/95 캐시[Cache]란? 캐시를 설명하기에 앞서 사상(Mapping)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알고 들어가려 한다. 사상이라고 하면 보통.. 그.. 사상.. 우리가 생각하는 사상을 많이 생각했다. 하지만 컴퓨터 용어에서 사상이란 사상(寫像, mappi.. richong.tistory.com Ajax 동기vs비동기 요..
2019.12.27